
우주에 대한 많은 논쟁들 가운데
이런 것이 있다
지구의 모래 vs 우주의 별
어떤 것이 더 많을까?

결론부터 말하면
인간이 관측할 수 있는 범위 내의
별 숫자만 따져도
별이 모래보다
더 많다


우주의 별 수인
700해라는 숫자의 크기는 어떻게 해야 실감할 수 있을까?
어른이 양손으로 모래를 퍼담으면
그 모래알 숫자가 약 8백만 정도 된다고 한다
그렇다면
해변과 사막의 면적을 조사하면
그 대강의 모래알 수를 얻을 수 있는데,
계산에 의하면 지구상의 모래알 수는
대략 10^22(100해)개 정도로 나와있다고 한다

따라서 우주에 있는
모든 별들의 수는
지구의 모든 해변과 사막에 있는 모래 알갱이의 수인
10^22개보다 7배나 많다는 뜻이다
이 우주에 그만한 숫자의
'태양'이 타오르고 있다는 말이다
그것들을 1초에 하나씩 센다면,
1년이 약 3200만 초이니까
자그마치 2천조 년이 더 걸린다

드라이버 박사는
우주에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별이 있을 수 있지만,
7x10^22승이라는 숫자는
현대의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범위 내 별의 총수라고 한다
별의 실제 수는
거의 무한대일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
우주는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할 정도로
너무나 크기 때문에
우주 저편에서 출발한 빛은
아직 우리에게 도착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





태양계 행성
공전속도 비교


지구 크기


저 점들이 별 한 개가 아닌
은하계의 모임





'[미분류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순신 장군도 사람이었다 (0) | 2022.07.02 |
---|---|
미국 나스닥 관련 레버리지 ETF를 장기투자해도 괜찮을까? (QLD, TQQQ, FNGU, SOXL) (0) | 2022.06.25 |
인류 역사상 가장 철학적인 천체 사진 (0) | 2022.06.22 |
안락사의 순간 (0) | 2022.06.18 |
치매 원인 찾았다…"비타민D 결핍 직접 영향" (0) | 2022.06.17 |